티스토리 뷰

Dev(기록 및 이론정리)/Vue

1.Vue (Wepack,Babel,Sass)

깔끔한청년 2021. 9. 12. 20:04

의존성 과  개발용 의존성 모듈을 배웠습니다.

패키지의 배포 시 포함될 의존성 모듈을 지정합니다.

$ npm install --save MODULE_NAME
# or
$ npm i MODULE_NAME

개발용 모듈설치

패키지의 개발시 사용될 의존성 모듈을 지정합니다(배포시  포함되지 않는다.)

$ npm install --save-dev MODULE_NAME
# or
$ npm i -D MODULE_NAME

개발용 의존성 과 의존성의 차이점은 배포 차이인 것 같다 (아직은 많이 몰라서 다시 공부해서 제대로 추가하겠습니다.)

 

Wepack

웹팩은 오픈소스 자바스크립트 모듈 번들 소스이다. (쉽게 말해 Plugin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Webpack-cli는 터미널에서 웹팩 명령 (Commands)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webpack-cli 커맨드에서 실행할수 있는도구입니다.
$ npm i -D webpack webpack-cli
//개발용 으로 실시간 Reload 서버를 실행하기위해  wepack-dev-server 설치
$ npm i -D webpack webpack-cli
//wepack-merge 웹팩 Config 객체를 병합(merge)하기 설치 합니다.
$ npm i -D webpack-merge

여기서 주의할 점은 모르는 것들 꼭 Stack Over flow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Babel

바벨은 Es6 이상의 코드를 Es5 이하 버전으로 변환하기 사용한다고 한다.

$ npm i -D @babel/core @babel/preset-env babel-loader

EsLint

'EsLint' 코드 품질과 코딩 스타일의 문제를 식별하기 위한 정적 코드 분석 도구입니다.

npm i -D eslint babel-eslint eslint-config-standard  eslint-plugin-import eslint-plugin-node eslint-plugin-promise eslint-plugin-standard eslint-plugin-vue
 // wepack-cli 설치 명령어 입니다.

render function 동작 Es6 문법 간소화

//h = hyperscriptd의 약어로 html 구조를 생성하는 스크립트의 의미 Virtual DoM 구현에서 관행적으로 사용
render: h=> h(App)

 

총 세 가지를 설치를 하였으며 자세한 내용 따로 빼놓았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현재  공부하는 과정이며, 

혼자 공부하면서 몰랐던 부분을 저장과 기록을 채워놓을 예정입니다

현재 몰랐던 부분들 정리 요약본 입니다.

1.Wepack-Cli 사용도를 몰랐습니다 설치 과정을 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2. 의존성과 개발용 의존성 차이점 

3.Babel의 사용도  빈도를 알았습니다. 

4.render function 동작 ES6 문법 간소화 

5.Vue 문서화 찾는요령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